Lab Med Qual Assur 2022; 44(1): 36-39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2
https://doi.org/10.15263/jlmqa.2022.44.1.36
Copyright © Korean Association of External Quality Assessment Service.
Young Ah Kim1 , Junglim Kim2
, Young Jun Son1
, and Sang Sun Lee1
1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Goyang; 2Research Institute of Bacterial Resistance,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Young Ah Kim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100 Ilsan-ro, Ilsandong-gu, Goyang 10444, Korea
Tel +82-31-900-0908
E-mail yakim@nhimc.or.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With the increase in multidrug-resistant (MDR) gram-negative rods, colistin treatment is increasingly required. Reliable susceptibility testing is important for managing infectious patients with MDR Pseudomonas aeruginosa. This study evaluated the reliability of an automated colistin susceptibility assay.
Methods: In total, 195 non-duplicated
Results: Categorical agreement was 92.8%, and nine colistin-resistant isolates with BMD were colistin-intermediate with two automated colistin susceptibility assays.
Conclusions: The failure to detect colistin-resistant
Keywords: Colistin, Automated susceptibility assay, Broth microdilution, Pseudomonas aeruginosa
Colistin 감수성 시험법으로는 디스크확산법(disk diffusion, DD), 한천희석법(colistin agar test, CAT), 액체배지 디스크 추출법(colistin broth disk elution, CBDE), 액체배지 미량희석법(broth microdilution, BMD), gradient diffusion (Etest) 및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다[2].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에서는 colistin의 감수성 시험법으로
국가항균제 내성균 조사 연구인 Korea Global Antimicrobial Resistance Surveillance System (KorGLASS) 자료에 의하면, 2017년에는
국내에서 carbapenem과 colistin에 대한 내성 균주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carbapenem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에서 매우 중요한 치료약제인 colistin에 대한 신뢰성 있는 감수성 시험법이 매우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에서는 항균제 감수성 시험을 위해 MicroScan WalkAway 96 Plus system (Beckman Coulter, Brea, CA, USA)를 이용하고 있으며(MicroScan),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colistin 감수성 검사법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수집된 colistin 내성을 다수 포함한
KorGLASS 연구를 통해 전국 9개 종합병원에서 2020년 3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된 총 195주의 혈액배양
두 방법 간의 일치도는 범주형 일치율(categorical agreement, CA)과 IBM SPSS statistics ver. 23.0 for Windows (IBM Corp., Armonk, NY, USA)로 Cohen’s kappa 계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Cohen’s kappa 계수의 판정기준은 <0.000(일치하지 않음), 0.000–0.100(거의 없는 일치도), 0.101–0.200(약간의 일치도), 0.201–0.400(어느 정도 일치도), 0.401–0.600(적당한 일치도), 0.601–0.800(상당한 일치도), 및 0.801–1.000(완벽한 일치도)로 하였다.
전체 195주를 비교하였을 때 표준방법인 BMD (Sensititre)과 MicroScan 자동화 장비의 CA는 92.8%였고, kappa 계수는 0.668 (
Table 1 . The concordance rate of colistin susceptibility test of
Sensititre | MicroScan | Total | |
---|---|---|---|
Intermediate | Resistant | ||
Intermediate | 164 | 5 | 169 |
Resistant | 9 | 17 | 26 |
Total | 173 | 22 | 195 |
Categorical agreement (%)=(164+17)×100/195=92.8%. Cohen’s kappa coefficient=0.668 (
Table 2 .
No. | Sensititre* | MicroScan* | Vitek-2 | |||||
---|---|---|---|---|---|---|---|---|
MIC (μg/mL) | R/I/S | MIC (μg/mL) | R/I/S | MIC (μg/mL) | R/I/S | |||
D13 | 2 | I | >4 | R | ≤0.5 | I | ||
F1 | 2 | I | 4 | R | ≤0.5 | I | ||
F5 | 2 | I | 4 | R | ≤0.5 | I | ||
H7 | 2 | I | 4 | R | ≤0.5 | I | ||
H11 | 2 | I | >4 | R | ≤0.5 | I | ||
A20 | 4 | R | ≤2 | I | ≤0.5 | I | ||
B9 | 4 | R | ≤2 | I | ≤0.5 | I | ||
B19 | 4 | R | ≤2 | I | ≤0.5 | I | ||
D7 | 4 | R | ≤2 | I | ≤0.5 | I | ||
D10 | 4 | R | ≤2 | I | ≤0.5 | I | ||
E6 | 4 | R | ≤2 | I | ≤0.5 | I | ||
E22 | 4 | R | ≤2 | I | ≤0.5 | I | ||
F18 | 4 | R | ≤2 | I | ≤0.5 | I | ||
I20 | 4 | R | ≤2 | I | ≤0.5 | I |
Abbreviations: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R, resistant; I, intermediate; S, susceptibility..
*Cohen’s kappa coefficient (susceptibility category of Sensititre and MicroScan)=?0.849 (
Colistin은 그람 음성 세균에 작용하는 polymyxin 계열의 항생제로, 중대한 신독성으로 사용이 중지되었다가[5], 전 세계적인 카바페넴 내성 Enterobacterales,
1976년 CLSI에서 colistin DD의 판정기준(breakpoint)를 모든 그람 음성세균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가 약제부작용과 부적절한 결과를 이유로 삭제하였다[10]. European Committee 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에서는 2010년도에 Enterobacterales,
Vitek-2에서는 균종별로 보고하지 않아야 할 항균제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MicroScan (Beckman Coulter)에서는
본 연구에서 표준방법인 BMD (Sensititre)와 MicroScan 자동화 장비의 CA는 92.8%였고, kappa 계수는 0.668 (
이 연구는 대한임상정도관리협회의 학술연구과제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다(과제번호: 2021-16). 통계처리를 도와 주신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 연구분석팀 윤소라, KorGLASS 참여연구자 김영리(제주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현수(한림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류남희(계명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경섭(충북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정환(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종희(전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어영(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 및 정석훈(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께 감사드린다(존칭 생략, 가나다 순).
![]() |
![]() |
![]() |
![]() |
![]() |
![]() |
![]() |
![]() |
![]() |